장례정보 공유방

액운(악귀)을 물리치는 내용

작성자 | 대길 2022.11.21

상장례기간 중 액운(악귀)을 물리치는 내용 고찰

; 상장례기간 중에 망자가 저승(다음세계)으로의 안녕을 기원하며 다양한 부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

1. 사자밥 중에 소금(간장)
이는 악한 사자가 상가에 해코지를 하고 망자를 위협할까봐 우려하여 소금을 사용함
(소금은 짜기 때문에 물을 마시며 쉬어가시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
※사자밥을 3그릇을 차리는 것은 사자가 3명이라 단정지은 것이 아니다. 사자가 넷이 될 수도, 다섯이 될 수도 있을것이다. 만약 사자가 넷이 왔다면...그 뒷감당 어떻게 할 것인가?

3이라는 숫자는 무한함을 단정짓지 못해 3에서 매듭짓는 숫자이다.
(삼세번, 삼신신앙, 향 3가닥 등...)

2. 역복불식
역복불식은 직계가족이 머리를 풀고 간소한 소복으로 갈아입는 것으로 전통에서는 4일차에 성복을 갖추었다.
이때 3일차에 입관이 끝나면 상식이 들어가기 시작했고 그 이전에는 1끼의 식사도 할 수 없었던 유가족에게 3일차에 식사를 하게 되면 탈이 나기 마련이다.
그래서 팥죽을 쑤어 먹게 했다. 단연 팥죽은 사돈이 준비를 하였다. 이는 출가를 시킨 딸을 잘 봐달라는 의미도 있지만 팥죽은 붉은색인지라 양의 색으로 좋지않은 악귀를 물러내기 위함도 포함된다.

3. 조발랑(오낭)
주로 매장인 경우에 입관 전에 관의 오방에 놓는다.
영구가 망자의 영역임을 표시하고 액운을 막기위함이다.

4. 반함
망자의 입속을 차마 비어있게 할 수 없는 효심에서 비롯된 의식스로 '부활과 벽사'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때 버드나무 숟갈을 사용하는 이유는 버드나무는 신속한 재생력, 다시 만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 사후의 재생을 기약하고 치유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5. 폐백(현훈, 예단)
현훈은 사후세계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상현 하훈으로 현은 검은 헝겁으로 하늘의 색이며 음을 뜻하고 시신의 좌상에 위치하며

훈은 붉은색으로 양을 뜻하며 시신의 우하에 위치한다.
이름을 쓰지 않는 이유는 양의 색, 죽음으로 돌아간다는 뜻이 있기 때문이다.

6. 방상시
방상시의 검은옷에 눈이 4개인 탈을 쓰고 오른손에는 칼이나 창을 들고 상여의 맨 선두에서 장지로 가는 길에 망자를 보호하고 악신, 잡귀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였다.

7. 명정
명정의 붉은색은 양의 색으로 음인 땅의 기를 불어 내세에서의 새로운 탄생을 기원하는 바램이 포함되어 있는 '부활과 벽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8. 운아삽
운아삽은 천재지변으로 부터 보호하는 부적과 같은 것으로 사용되었다.
매장시 명정과 함께 묻는데 운삽은 동쪽편 아래쪽
아삽은 서쪽편 아래에 묻는다.
운은 운삽, 화삽을 말하고 구름 모양의 운자를 그려 넣는것이다. 구름은 하늘을 뜻하는 것으로 곧 사람이 죽으면 하늘로 올라가고 넋은 땅으로 떨어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아는 아삽, 불삽으로 땅을 의미한다. 땅은 선과 악이 공존하는 곳으로 악한것으로 인해 시신이 망가지거나 해를 받을까봐 방어하기 위해 아삽을 사용하는 것이다.

9. 부적
하관시 일진이 좋지 않은 날에 부득이 하관을 할 경우에 부적을 사용하여 액운을 막았다.
취토(관을 바르게 놓는 것)를 할 때 부적을 먼저 놓았다.
※허토는 흙을 세번에 나누어 하관 후 영구위에 뿌리는 것을 말함.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