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정보 공유방

조전(祖奠, 포시고사)에 대하여

작성자 | 대길 2022.11.21

조전(祖奠)은 발인전날 '영원히 떠나야 하는 날을 맞아 영구를 받들고자 하니 아침 길을 열어 달라'고 올리는 저녁전을 말한다.
조전(祖奠)을 올리기 전 먼저 사당에 조상을 뵙는 의식을 행하는데 봉구조우조(奉柩祖于祖)라 하여 사당에 모신 조상을 뵙는 절차이다.
시구(尸柩) 또는 혼백(상황이 여의치 못할 경우)만 모시고 청조조(請祖祖)라 하여 조상 뵙기를 청하며 의식을 행한다.
①발인전날 아침에 지내며 이 의식이 끝나면 행로신(行路神)에게 알리고 고한다.
② 그런 후 신시에 조전(祖奠)을 지내게 되는데 일포시에 지낸다해서 '포시고사'라고도 한다.
포시의 '哺(포)'자는 젓먹이 아이의 저녁 첫시간 즉, 신시(15:00~17:00)를 말한다.

가례초혜를 살펴보면 사마온공이 이르길
①시구(尸柩)가 다른 곳에서 돌아와 장례를 할 때는
발인하는 당일에 행하나
②발인전날 아침 조전(朝奠)을 올릴 때는
상여에 시구(尸柩)를 싣고 마당에 진설을 하고 축관이 무릎을 끓고 앉아 고하고 곡한 후 장사 지낼 때까지 이 예와 같이 견전을 올린다.
(견전은 어깨너머의 말로 '발인제'라고 하는 그것을 말함)

※조전(祖奠)의 부연설명
'조(祖)'자는 조상을 뜻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祖'자는 또 다른 의미를 갖게 된다.
(1)안장하기 전까지는 '신위'가 아닌 '지위'의 단계이지만 이미 영혼이 분리되었으니 '식준조도'라 하여 조상들이 가신 그 길을 쫒는다는 말이기도 하다. 부모를 대신해 윗 어른 조상들에게 자손이 부모를 대신해서 고하는 의식이기도 한 것이다, '祖'자를 써서 '조전'으로 전을 올린다.
☞지방(위패)은 전통에서는 장례가 끝나고 '제주 반혼제'를 올릴 때 처음으로 만들어 세웠으나
1934년 의례준칙(조선총독부령)에 의해 일제의 강압으로 영좌설치와 동시에 이미 지방을 세우게 하였다.
(2)출상을 준비하기 위해 발인전날에 상여를 옮기고 시구(尸柩)를 움직여야 한다.
조전을 지내기전 아침에 사당에
①혼백을 모시며
②방틀과 광목 등 상여를 셋팅을 해놔야 한다.
(3)발인전날 사당에서 아침에 드렸던 것처럼 동일하게 신시에 드리니 이것을 다른 말로 '포시고사'라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