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례정보 공유방

사자밥과 초혼

작성자 | 대길 2022.11.21

1. 사자밥과 초혼

; 유가족의 요청에 의해 뜻하지 않게 사자밥을 차려야 하는 상황이 일어났다면... 여러분은 자연스럽게 리더해 나갈수 있는가?
자주 접하는 지역에서는 쉽게 해결 할 수 있겠지만 어쩌다 생각지도 않은 지역에 출동하여 장례를 치르거나 독특한 유가족에 의해 사자밥을 차려야 하는 돌발상황이 발생했을 때 경험이 없는 분이라면 위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장례식장에서 짚신을 구할 수 없는 경우가 더러 있기 때문에 차량에 항상 세컬레의 짚신(사자의 짚신은 크기가 작음)을 챙겨 다니는 센스가 필요하다.
이에 이런 상황을 아주 자연스럽고 완벽하게 이끌어가길 바라며 그런 간절함으로 많은 시간을 투자하여 여러분께 글로나마 올려드린다.
우선 내용 해석 후 절차로 들어가도록 하겠다.

(1)저승사자는?
저승사자는 염라대왕이 부리는 사자로 망자의 혼을 저승으로 데리고 가는 매개자 역할을 한다.

(2)소금(또는 간장,된장)이 포함된 이유?
①인정사정 없는 사자인지라 짠것을 먹게 하여 조금이라도 쉬어가게 하려는 주술적인 의미
☞유교에서는 비례로 보아 옳지 못함을 강조, 민간신앙에서 행해짐
②잡귀(악한사자 포함)를 몰아내고 복이 들어오길 염원하는 의미
☞악한사자는 심술이 많고 망자를 잡으러 왔다가 바로가지 않고 남아있게 되면 화가 되어 얼마 후 우환으로 돌아오거나 줄초상이 날까봐
☞선한 사자에 이끌려 망자가 저승길을 고이가도록 접대하는 것
※개업을 할때 소금을 뿌리는 것도 잡귀를 몰아내고 복이 오길 염원하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3)사자밥 준비물
①채반 또는 교자상
②백반 세그릇;요기의 의미
③짚신 세컬레;배려의 의미
④돈 3장;뇌물의 의미
⑤생수와 그릇 3
⑥막걸리와 잔 3
⑦명태 세마리;명태는 악한귀신을 막아주고 알을 많이 낳는 어물로 부자,번창 등을 상징
⑧소금 세그릇(또는 된장,간장도 가능하나 가급적 소금이 좋다.)

(4)놓는 위치
①자택;대문 밖의 북쪽
②장례식장;빈소 입구의 영좌방향(북쪽)
☞북망산천(저승 문)은 북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
☞숫가락은 북쪽으로 꽂으면 됨(동쪽 아님)

(5)셋을 차리는 이유
사자가 넷 이상이면 문제가 심각해지는데 왜 하필 3일까?
3이라는 숫자는 무한한 수를 표현할때 단정 지을 수 없어서 3에서 마무리 하기위해 사용(3세번,성부성자성령,천지사상...)한다.
어떤이는 사자가 둘이고 망자를 포함하여 셋이라고도 하고
어떤이는 사자가 셋이고 망자까지 넷이라고도 하며
또 어떤이는 사자를 포함하여 둘이라고도 한다.
①저승사자는 둘로 일직사자,월직사자, 그리고 망자
②삼혼(삼신)사상으로 태령,유령,상령을 각기 맡아 거두어 가려고 셋이 온다고 봄

(6) 절차(현대식)
사전에 망자의 웃옷을 챙겨오도록 한다.
①사자밥을 상가 입구에 차린다.
②영좌와 시사전 설전까지 마친 후(가급적) 행한다.
③초혼은 주변 상가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예식실, 안치실, 장례식장 마당이나 주차장 등에서 행한다. 사전에 장소를 지정하고 그곳으로
유가족을 모신다.
이어 유가족에게 안내차 브리핑을 한다.
"제가 초혼을 하고 웃옷을 아버님(어머님)있는 안치실의 가슴 위에 두고 올것입니다.
이때 제가 복(초혼)을 외치고 나면 즉시 수없이 곡하면서 가슴을 치고 땅에 구르거나 바닥을 발로치시다가 제가 안치실에서 나오면 저를 따라 사자밥이 차려진 곳으로 따라 오시면 됩니다."
※복을 부른 옷을 가슴에 올려 놓는것은 자신(망자)의 옷임을 확인하라는 의미
④망자의 웃옷으로 왼손은 옷깃을 잡고 오른손은 허리를 잡고 세번 외친다. 남자는 이름을 부르고 여자는 성씨를 부르고 난 후 웃옷은 주검 위에 덮는다.
※남자;해동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123번길
학생안동홍공 휘 길동 복!복!복!
☞휘는 높여 부르는말
※여자;(위와 같은 주소)
유인밀양박씨 복!복!복!
☞초혼을 할때는 연거푸 크고 긴 목소리로 복을 세번 외친다.
⑤*높은 곳에서 혼을 부르는 이유는
혼기(넉)가 위에 있기 때문이며 천지사방 어느곳이던 쉽게 보이게 하기 위함이다.
혼은 천지사방 정한대가 없기 때문에 다시 어디에든 돌아오길 바라는 마음 즉, 자식된 도리로 부모를 보낼 수 없는 안타까움을 표현하는 것이다.
*또한 이웃에게 돌아가셨음을 알리기 위함이기도 하다.
*세번 외치는 이유는 예가 3에서 오기 때문이며 다시 돌아오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위를 향해 복;천지사방,동서남북 어디든 돌아오라는 의미
*동쪽을 향해 복;소생의 의미
*북쪽을 향해 복;죽음을 관장하는 곳으로 북망산천을 향해 불러서 돌아오라는 의미
⑥복을 부른 후 뒤돌아보지 않는 것은 부정과 화를 부른다는 속설 때문이다.
웃옷은 습염 및 입관시에 폐기물 처리하거나 태워서 없앰, 이는 생기를 불러오게 한 도구이자 삶으로 보는 관점 때문이다. 전통에선 혼백을 만드는데 사용키도 했다.
⑦사자밥으로 모이면 수없이 하던 곡을 멈춘다.
※이때 유가족은 만원(천원)짜리 석장을 준비한다.
맏상주(또는 임종을 지켜보지 않은이)를 제주로 세운 후 잔을 따르고 올리면 숟가락을 각각 북으로 향하게 놓는다. 제주는 노잣돈을 짚신 위에 올린다.
⑧장례지도사는 사자상 축을 읊는다.
"일직사자네야 월직사자네야,
여보게나 여보게나 사자네야,
000잘 인도해 주시게나.
신발 고쳐신고, 노자돈도 챙기고, 술이라도 한잔하고
인덕과 정 많이 베풀고 가시게나"
⑨사자상에 재배를 한다.
예가 끝나면 유족은 빈소로 시사전에 참여토록 한다.

(7)초혼을 하는 이유?
사람이 죽으면 혼백이 몸에서 떠난다하여 그 혼백을 다시 불러 육신에 붙게한다는 뜻의 절차로 '復(복)' 또는 '皐復(고복)'이라고도 한다.
①혼이 다시 돌아올 수는 없지만 자식된 도리(효심)를 다하는 것으로 여겨 복을 하였다.
②혼이 위에 있다고 하여 높은 곳에서 행하였다.
③혼이 다시 체백에 합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렇게 해도 살아나지 않으면 정말 운명하신 것으로 보고 비로소 수시를 거둔다.
④초혼은 몸을 떠난 영혼을 다시 불러들이려는 주술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⑤운명과 동시에 망자가 평소에 입던 겉옷을 가지고 지붕이나 옥상 또는 툇마루 끝에서 왼손으로 옷깃(동정)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옷 중간(허리)을 잡아 북쪽을 향하여 옷을 휘날리며 복을 한다.
⑥지방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망자의 임종을 지켜보지 않은 집안의 백관 중에 택하여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망자가 남자이면 남성이, 여자이면 여성이 행하나 요즘엔 대행업체를 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OP